1. NAS 에서 먼저 도커를 설치한다.
패키지센터 들어가면 도커 있다 그냥 설치누르면 깔림
도커 > 레지스트리 > 검색(Ubuntu) 엔터 치면 나온다. 클릭
선택후 다운로드 .
더블클릭하면 다운받을수 있는 버전들이 있다. 걍모르겠다 하면 latest 쓰면 되고 아니면 버전선택해서 확인.
도커 > 이미지 탭에 들어가면 다운받은 이미지목록들을 볼수 있다. 우리는 Ubuntu 를 설치해야되니 Ubuntu 를 클릭 (나는 20.04버전으로 다운받음)
컨테이너이름은 이제 도커안에 돌아갈 이미지파일의 이름을 정하는것 .
마운트될 폴더를 지정한다.
컨테이너 데이터는 컨테이너의 삭제와 함께 사라지고, 데이터를 영속성 있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마운트를 통해 데이터를 기록해야됨.
Ubuntu 관련된 정보나 파일들이 여기서 지정되는 폴더안에 모두 저장된다.
고급설정 클릭
볼륨 > 폴더 생성 클릭
Ubuntu 폴더 생성후 적용
마운트 경로는 가상시스템 폴더위치 이다 도커안에서 돌아가는 우분투 시스템의 /ubuntu 경로에 들어있는 데이터 내용과
호스트(Nas) 에 docker/Ubuntu1 의 파일들이 동기화 된다.
포트설정
포트설정은 이제 포트포워딩 에서 내부IP로 지정한 포트에서 가상컨테이너 안의 포트로 포트포워딩 시켜주는것.
https://dailycoding-diary.tistory.com/
참고하면된다.
나는 웹사이트 올리기위해서
1. 웹사이트
2. open ssh
3. Jenkins
4. DB
이렇게 총 4개를 포트 설정 해놨다.
일단, ssh 만 설정해도 되니 컨테이너 포트 22번 주고 하나 만들어놓자.
컨테이너 탭 들어가면 이렇게 하나 만들어졌을거다.
더블 클릭
터미널 > 생성 클릭
bash 탭이 생성된다.
여기서부터는 뭐 Ubuntu 운용법이니 이제 간단하게 open-ssh 설치하고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보자.
root@ubuntu1:/#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
뭐막 쥬륵쥬륵 나오는데 Y 눌러서 설치
geomatric area 묻는질문엔 6.AISA
6누르고 엔터
time zone은 69.seoul
69 누르고 엔터
root@ubuntu1:/# nano /etc/ssh/sshd_config
nano 편집기 사용해서 sshd_config 파일 연거다 vim 써도됨.
쭉쭉 내리다보면 PermitRootLogin 이 있는데 yes 로 바꿔주고 맨앞에 # 지워주고 컨트롤 x 하고 나간다.
비밀번호 입력 하고 재입력하면 이제 ssh Root 권한으로 접속이 가능하다.
root@ubuntu1:/# /etc/init.d/ssh restart
이제 외부에서 접속해서 Ubuntu 운용하면 된다.
'네트워크 > [Synology NAS 활용] - 나만의 웹서버 구축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ynology NAS] 활용 나만의 웹사이트 만들기 - 3(포트포워딩) (0) | 2023.05.10 |
---|---|
[Synology NAS] 활용 나만의 웹사이트 만들기 - 2(포트포워딩) (0) | 2023.03.12 |
[Synology NAS] 활용 나만의 웹사이트 만들기 - 1 (0) | 2023.03.12 |